ESG 경영
- ESG 경영
- ESG 경영은 기업이 활동하는 데 있어서 환경을 고려하고(E), 사회적 책임을 고려하고(S), 지배구조를 개선(G)해야 재무적인 위험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는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미래와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 출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기업 가이드 ESG Ato Z (2022 / 대한상공회의소)
- ESG 경영의 7가지 특징
- ESG는 대기업, 중견·중소기업이라는 분류를 넘어 기업이라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대상이며, 성공적이고 바람직한 ESG 경영을 위해서는 다음의 7가지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 명확한 타켓기업을 둘러싼 수많은 이해관계자, 수요자 중에서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합니다. 1. 명확한 타켓기업을 둘러싼 수많은 이해관계자, 수요자 중에서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합니다.
 대기업은 주요 고객인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중견·중소기업은 수요자(클라이언트) 지향으로 ESG 활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 
             2. 거버넌스, 성과관리 체계사외이사 추천, 지속경영위원회, ESG경영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감사위원회 등을 통한 투명한 지배가 ESG 평가에서 중요해지고 핵심평가지표인 KPI의 평가체계도 중요합니다. 기업들은 CEO평가에 ESG 성과를 반영하고 있으며, FTSE 100 중 45%의 기업이 KPI에 ESG 평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2. 거버넌스, 성과관리 체계사외이사 추천, 지속경영위원회, ESG경영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감사위원회 등을 통한 투명한 지배가 ESG 평가에서 중요해지고 핵심평가지표인 KPI의 평가체계도 중요합니다. 기업들은 CEO평가에 ESG 성과를 반영하고 있으며, FTSE 100 중 45%의 기업이 KPI에 ESG 평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3. 공시, 커뮤니케이션기후변화가 기업의 재무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공시하는 TCFD(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와 같은 글로벌 가이드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3. 공시, 커뮤니케이션기후변화가 기업의 재무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공시하는 TCFD(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와 같은 글로벌 가이드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시기준의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므로 다양한 공시기준에 주의를 기울이며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측정, 평가를 통한 성과의 입증(verify)다양한 글로벌 평가체계를 활용하거나 기업 내부에서 자발적으로 측정체계를 개발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성과를 대외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 측정, 평가를 통한 성과의 입증(verify)다양한 글로벌 평가체계를 활용하거나 기업 내부에서 자발적으로 측정체계를 개발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성과를 대외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5. 균형잡힌 지표, 관리체계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최근 주목받는 E(Environmental) 외에 S(Social), G(Governance)에 대해서도 균형 잡힌 노력이 필요합니다. 5. 균형잡힌 지표, 관리체계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최근 주목받는 E(Environmental) 외에 S(Social), G(Governance)에 대해서도 균형 잡힌 노력이 필요합니다.
- 
             6. 밸류체인(Value Chain)상의 더 큰 책임기업의 전통적인 책임영역뿐 아니라 원자재 및 제품 폐기까지 수요자, 공급자에 이르는 밸류체인 전체에 대한 책임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6. 밸류체인(Value Chain)상의 더 큰 책임기업의 전통적인 책임영역뿐 아니라 원자재 및 제품 폐기까지 수요자, 공급자에 이르는 밸류체인 전체에 대한 책임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7. 차별화, 경쟁력 포인트SAB Miler는 모잠비크의 제1농산물인 Cassava라는 현지 원료로 맥주를 개발하여 아프리카 전체 시장의 40%를 차지하였습니다. 7. 차별화, 경쟁력 포인트SAB Miler는 모잠비크의 제1농산물인 Cassava라는 현지 원료로 맥주를 개발하여 아프리카 전체 시장의 40%를 차지하였습니다.
 ESG의 요소를 활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로 연결시킨 좋은 사례로 참고할 수 있습니다.


